반응형

폰 노이만 구조

현재와 같은 CPU, 메모리, 프로그램 구조를 갖는 범용 컴퓨터 구조의 확립

 

  • 산술 논리 장치와 프로세서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
  • 명령 레지스터와 프로그램 카운터를 포함하는 컨트롤 유닛
  •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 외부 대용량 스토리지
  • 입출력 매커니즘

장점 

컴퓨터에 작업을 시키려고 할때 하드웨어적으로 재 배치를 할 필요가 없이 소프트웨어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범용성(general-purpose)이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현대의 컴퓨터는 거의 다 이 구조를 따르고 있다.

 

단점

메모리에서 데이터/코드(프로그램)을 가져올때 버스 하나로 한번에 하나만 가져오는 구조이기 때문에 폰 노이만 병목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었지만 폰 노이만 구조를 쓴다면 근본적 문제는 해결하진 못했다.

 

- 하버드 구조의 발명 

- 메모리 계층 구조(L1~L2 캐시, 메인 메모리, 하드디스크 구조)

- 다양한 방식 고안

ex) NUMA(메모리에 접근하는 시간이 메모리와 프로세서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DMA(CPU가 직접 메모리 접근)

 

 

하버드 구조

하버드 아키텍처(Harvard architecture)는 명령용 버스와 데이터용 버스로 물리적으로 분할한 컴퓨터 아키텍처

명령용 버스와 데이터용 버스를 분할 -> 폰 노이반 병목 현상을 동시 접근으로 해결하려고 시도

 

단점 : cost(버스가 2배!)

 

현대에 이르러서는 CPU의 외부적으로는 폰 노이만 구조를, 내부적으로는 하버드 구조

 

reference

 

https://velog.io/@ckstn0777/%EC%BB%B4%ED%93%A8%ED%84%B0-%EA%B5%AC%EC%A1%B0

반응형

'CS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 cache, Write Through과 Write Back  (0) 2022.01.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