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 헷갈리는 개념이라 메모해두려고 한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ter - 통합 자원 식별자)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or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
주소보다는 '식별자'의 개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상에서 웹 리소스에 대한 참조
흔히 웹 주소라고 한다.
우리가 주로 쓰는 주소가 URL
URL은 URI의 서브셋이다.
URI - 식별자
URL - 위치
URN (Uniform resource name)

URI의 특정 포맷중 하나로 이름으로 리소스를 특정하는 URI
프로토콜을 제외하고 리소스의 name 을 가리키는데 사용
URN에는 접근 방법 & 위치가 표기 X
참고) URL 구조
scheme:[//[user[:password]@]host[:port]][/path][?query][#fragment]
scheme : 사용할 프로토콜을 뜻하며 웹에서는 http 또는 https를 사용
user와 password : (서버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름과 비밀번호
host와 port : 접근할 대상(서버)의 호스트명과 포트번호
path : 접근할 대상(서버)의 경로에 대한 상세 정보
query : 접근할 대상에 전달하는 추가적인 정보 (파라미터)
fragment : 메인 리소스 내에 존재하는 서브 리소스에 접근할 때 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reference
https://www.charlezz.com/?p=44767
URI랑 URL 차이점이 뭔데? | 찰스의 안드로이드
URI 그리고 URL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 문제가 없지만 정확하게 이 둘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각 용어의 정의와 용도에 대해서 알아본다. URI URI는 특정 리소스
www.charlezz.com
https://mygumi.tistory.com/139
URI vs URL vs URN :: 마이구미
이번 글은 URI, URL, URN 을 다뤄본다. URI와 URL은 아직도 많이 혼동되고 있다. 우리는 대부분 URL이라는 표현을 하고 있다. 우리가 보고 있고,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이 사실 URL이기 때문이다. URI, URL, U
mygumi.tistory.com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yCast란? (0) | 2022.04.11 |
---|---|
HTTP 메소드 멱등성, 안전한 메소드 (0) | 2022.01.31 |
[TCP] 3-way handshake와 4-way handshake (0) | 2022.01.23 |
Pooling, Long Pooling, Streaming (0) | 2022.01.23 |